[WTS] 우리가 오르는 언덕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뚜렷이 보고 있다. 거의 모든 나라에서 실업률이 폭등했고, 인종차별주의와 국수주의가 심화됐다. 인간 안보와 건강 보호를 주목해야 하는 순간에, 국가안보와 경기 부양에만 신경썼다. 특히 지난 몇 주 동안 바이든 당선자의 취임식 앞서 미국은 폭동과 충돌을 목격했다. 이 상황을 보면 힘이 빠질 만 하다. 다만, 자세히 보면 희망을 찾아낼 수 있다. 현재의 어둠 속에서 많은 의사들, 교사들, 근로자와 여러 다양한 사람들은 사회를 치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사람들이 꾸준히 노력하고 절망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희망은 어디에서 올까? 그것은 바로 사회가 지금 겪는 어려움이란 완전히 깨져버린 (그래서 끝나버린) 상태가 아니라 단순히 아직 끝나지 않은 (그래서 아직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는) 상태라는 사실이다. 이 관점으로 보면 우리 사회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게 하는 역할이 모두에게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우리에서 사회를 조금이라도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할 지 물어야 한다. It’s plain to see that the world has been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Most countries have seen a rise in unemployment, and intensifying racisms and nationalism. In the moment that we ought to have been giving our attention to human security and preserving people’s health, we instead focused only on national security and simulating economies. Particularly over the past few weeks preceding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Joe Biden, the US has seen the eruption of riots and clashes. Through these dark times many doctors, teachers, workers and a variety of other people have been striving to heal their society. What hope do these people have that allows them to continue to strive in such difficulties? This hope comes from the perspective that society's current struggles are not a state of brokenness, but simply an unfinished state. From this perspective, we all have a role to play in bringing about the desired change we want to see in society. The question then becomes, given our location what role do we have to play in moving our society towards that better finish? 원문 발췌: “When day comes we ask ourselves,where can we find light in this never-ending shade?The loss we carry,a sea we must wadeWe've braved the belly of the beastWe've learned that quiet isn't always peaceAnd the norms and notionsof what just isIsn’t always justiceAnd yet the dawn is oursbefore we knew itSomehow we do itSomehow we've weathered and witnesseda nation that isn’t brokenbut simply unfinishedWe the successors of a country and a timeWhere a skinny Black girldescended from slaves and raised by a single mothercan dream of becoming presidentonly to find herself reciting for one” - Amanda Gorman (The Hill We Climb)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LOG IN 로그인
  • 소개
    • 인사
    • 연구소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알립니다
    • 연구소 소식
  • Voice
    • 연구위원들의 글
    • The TEPI Podcast
    • Words to Share
  • 자료실
    • 출판물
    • 세미나 기록
    • 자료 리뷰
    • 주제별 모아보기
    • 단체 Database
  • Contact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 소개
      • 인사
      • 연구소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알립니다
      • 연구소 소식
    • Voice
      • 연구위원들의 글
      • The TEPI Podcast
      • Words to Share
    • 자료실
      • 출판물
      • 세미나 기록
      • 자료 리뷰
      • 주제별 모아보기
      • 단체 Database
    • Contac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 소개
        • 인사
        • 연구소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알립니다
        • 연구소 소식
      • Voice
        • 연구위원들의 글
        • The TEPI Podcast
        • Words to Share
      • 자료실
        • 출판물
        • 세미나 기록
        • 자료 리뷰
        • 주제별 모아보기
        • 단체 Database
      • Contac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사)피스모모 | 대표: 문아영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문아영 | 전화: 02-6352-0904 | 이메일: momotepi1211@gmail.com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 365 3층 | 사업자등록번호: 531-82-00077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