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S] 태양은 노랗게 타오른다

지난 10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삶은 크게 번성했다. 기대 수명, 문해율, 민주주의 체제, 기본 교육 수준이 모두 크게 증가한 반면, 아동사망률, 극빈층, 식민지 주민들은 급격히 감소했다. 이는 주로 산업화와 글로벌 연결성 증가의 영향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국가에서 가족 단위로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지만, 모든 사람들이 그러한 세계에서 살 수 있도록 동등한 자격이 주어지지는 않았다. 업무의 디지털화, 시장의 독점화, 청년의 도시 이동, 환경 파괴는 주로 식민지의 부를 상속받은 사람들을 풍요롭게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전에 식민 지배를 받았던 사람들은 그들 지역사회에 가해진 피해를 치유하면서 현 세계 시스템을 따라잡아야 하는 위치에 남겨졌다. 정의평화가 묻는 질문은 우리가 이 제도에 참여할 것인지가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참여할 것인지다. The past one hundred years have seen a massive rise in the flourishing of human life around the world. Life expectancy, literacy rates, people living in democracies, and basic education levels have all greatly increased, while child mortality, extreme poverty, and colonized peoples have drastically dropped. This is largely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increased global connectedness. However, this drastic change is revolutionizing systems from the national down to the family level and not all peoples have been equally equipped to live in such a world. The digitization of work, the monopolization of markets, the urban migration of youth, and the degradation of the environment primarily serve to secure and enrich the inheritors of colonial wealth. Those who were previously colonized have been left to play catchup while healing the harm inflicted upon their communities. The question of just-peace beckons not if we will participate in this system, but how will we choose to participate. 원문 발췌:"Nkem, my mother’s entire life is in Abba. Do you know what a small bush village that is? Of course she will feel threatened by an educated woman living with her son. Of course you have to be a witch. That is the only way she can understand it. The real tragedy of our postcolonial world is not that the majority of people had no say in whether or not they wanted this new world; rather, it is that the majority have not been given the tools to negotiate this new world."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LOG IN 로그인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윤지영을 기억하며
        • 후원하기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윤지영을 기억하며
                • 후원하기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윤지영을 기억하며
                        • 후원하기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사)피스모모 | 대표: 문아영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문아영 | 전화: 02-6351-0904 | 이메일: momotepi1211@gmail.com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41다길 48-12 | 사업자등록번호: 531-82-00077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