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CE-교재소개] '재이주 탈북 청년'을 통해 모색하는 '함께 살기' (조미수)

평화교육 교재소개영어제목 Hana’s Stories: A North Korean Refugee in Japan일본어제목 하나의 이야기: 나는 북한에서 왔습니다ASIAPRESS International Osaka Office, 2016. Authors: Kyungmook Kim, Markus Bell, and Susan Menadue Chun Japanese-English, Bilingual Textbook for Peace Education 본서는 북한을 떠나 중국으로 이주한 이후 일본의 난민 지원 NGO의 도움을 받아 일본으로 재이주한 19살 탈북청년 '하나'가 겪는 일들을 담은 픽션이며, 이를 통해 동북아시아의 역사적 과제, 정치적 갈등,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는 사고를 함양하도록 돕는 평화교육 교재이다. 본서는 영어와 일본어 대역을 실어 이중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일본 아시아프레스출판에서 발간되었다. 아직 한국어로는 번역되지 않았다. 본서는 한국을 거쳐 제3국으로 재이주 한 탈북민(North Korean re-migrants)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도요타재단 연구조성 프로그램 - 해외로 재이주하는 탈북자들의 이상과 현실: 트랜스내셔널 네트워크의 활용과 국경 통제의 시선에서).1 이 연구는 한국에 잠시 거주한 탈북민들이 유럽, 북미, 호주, 일본 등 제3국으로 다시 이주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이 연구의 연구자이자 본서의 공동 집필자인 김경묵(Kyungmook Kim)은 한국의 탈북민 정책이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쳐 다른 나라들의 난민 지원정책보다 더 충족되고 있음을 인정한다. 그럼에도 한국의 수용 체제의 문제, 탈북민들이 제3국으로 재이주하는 동기, 그리고 재이주한 나라에서 탈북민들이 겪는 상황 등의 관점에서 한국의 탈북민 지원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 한다. 김경묵은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교육 제도의 활용과 교재 만들기를 들었고, 사람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재이주 탈북민’들의 고충과 문제점들을 이해하기 위해 이와 같은 교재 개발을 진행했다고 본서에서 밝히고 있다 (3p). --------------- 본서는 주인공인 ‘하나’가 다니는 가상의 학교 ‘지구시민학교’를 무대로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작은 사건들을 다룬 16개의 짧은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에피소드들은 핵심어(Keyword), 토론 주제(Discussion Question), 활동(Activities)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학습자들이 성찰과 의견 나눔을 통해 더 깊이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16개의 에피소드 안에는 ‘하나’를 포함한 10명의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들은 각각 독특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북한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부모는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실시된 재일동포들의 북송(일본에서는 귀국사업으로 불린다)으로 북한에 건너 온 재일동포 출신자이다. 하나는 15살 때 중국을 거쳐 탈북하였으며, 2년 후 일본에 건너오게 된 19살의 청년이다. 하지만 그녀가 새로 전입한 지구시민학교에서 그녀는 북한출신이라는 사실을 숨기고 남한 출신으로 소개한다. 하나의 주변 친구들 로는 일본국적으로 귀화한 재일조선인인 유미, 조선학교를 다니는 향미, 한국에서 온 유학생인 준호와 철, 북아일랜드 출신이자 가톨릭 교도인 아론, 일본계 미국인 아버지와 한국계 미국인 어머니를 가진 마리코(티나) 등 다양한 배경과 정체성을 가진 이들이 소개된다. 각 에피소드들은 극히 평범한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문화, 인식, 습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들이 소개된다. 본서는 그러한 사건들이 주인공인 ‘하나’의 시선과 느낌을 통해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독자 (혹은 학습자들은) ‘하나’를 단순히 일본에 사는 탈북 청년 중의 한 사람으로 대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입장에서 그녀 주변에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들을 마주하는 기회가 주어진다.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존중을 학습할 때 '내가 그/그녀와 같은 상황이었더라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했을까?'라고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것 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 따라서 ‘하나’의 관점으로 주변의 사건들을 보여주는 글쓰기 방식은 학습자들 이 각 사건에 대해 자기 입장으로 먼저 생각하고, 동시에 ‘하나’의 느낌과 생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경험을 주기에 매우 효과적인 교육적 경험을 준다. ----------------- 주인공이 제3국으로 재이주한 탈북 청년인 만큼 주제가 남북 분단과 통일, 이념 갈등, 인권 등으로 쏠릴 수도 있지만 본서는 보다 다양한 이슈들을 다룬다. 예를 들어 고래를 먹는 식문화와 관련하여 일본 학생과 아일랜드 학생이 의견 차이로 다투거나 (Case study #9: “Biting Off More than You Can Chew”), '하나’가 일본 출입국관리국 (현재는 출입국재류관리청) 수용소에 불법체류를 이유로 구금된 중국 조선족 동포를 만나 고민하는 장면 등이 나온다 (Case study #11 “Hana Visits ‘Nishi Nihon Detention Centre’”). 사람의 이념, 살아 온 환경, 선호, 정의의 개념 등에 따라 이슈마다 등장 인물 간의 의견이 일치하기도 하고 대립하기도 한다. 즉 본서는 다양한 정체성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갈등을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하는가를 다양한 시야에서 토론하는 주제를 제공한다. 본서는 현재 교육제도에서 활용될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화교육 교재로 만들어졌다. 아쉽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쉬운 글로 청소년/청년들의 일상 생활에 가까운 이야기가 쓰여진 만큼 동북아시아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 사회 문제에 대한 설명은 충분하게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각 에피소드의 케이스 스터디에서 주요 역사, 사회 문제에 대한 보충 설명이 필요한 부분들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료를 찾아 의견을 나누면서 서로 배우기의 일환으로 진행하면 좋을 것이다. 본서는 일본에서 흔하지 않은 탈북 청년을 주인공으로 하여 동북아시아의 역사성, 사회성에 대해 한 걸음 깊이 파고든 이해를 돕는다.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차이를 가진 이들과 어떻게 함께 살아가는지를 학습자들이 스스로 생각하게 하는 의욕적 평화교육 교재라고 할 수 있다. 꼭 현장에서 활용하여 어떤 토론이 나오고, 어떤 활동으로 이어지는지를 알고 싶다. 추후 이 교재를 활용한 사례발표와 본서에서 다루지 못한 젠더, 종교 등의 주제를 담아 더 깊이 있는 속편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조미수 (TEPI 연구위원) VOICE 2020/07-A-4 --------------------------1. The Ideal and the Reality of Overseas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national Networks and Border Controls. 연구 바로가기: http://toyotafound.force.com/psearch/JoseiDetail?name=D12-R-0657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LOG IN 로그인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윤지영을 기억하며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후원하기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윤지영을 기억하며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후원하기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윤지영을 기억하며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후원하기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사)피스모모 | 대표: 문아영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문아영 | 전화: 02-6352-0904 | 이메일: momotepi1211@gmail.com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41다길 48-12 | 사업자등록번호: 531-82-00077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