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bswyBESbswyBESbswyBESbswy [WTS]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이 일어난 지 9번째 되는 해

[WTS]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이 일어난 지 9번째 되는 해

세계적인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Jeffrey Sachs/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특별 고문, 유엔 지속가능발전 해법 네트워크 소장, 바티칸평화회의 주최자)는 여러 미디어를 통해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에 서방 세계, 특히 미국이 오래 전부터 지속적으로 개입했으나 이는 거의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말합니다. "서방 정부와 언론은 올해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이 발발한 지 1년이 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올해는 전쟁 9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We are not at the 1-year anniversary of the war, as the Western governments and media claim.This is the 9-year anniversary of the war. And that makes a big difference." 제프리 삭스가 기고한 2023년 2월 28일에 <요르단 타임즈(Jordan Times)> 기사에서 그 맥락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전쟁은 2014년 2월 미국 정부의 노골적이고 은밀한 지원을 받은 쿠데타로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폭력적으로 전복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2008년부터 미국은 우크라이나와 그루지야에 대한 나토 확장을 추진했습니다.2014년 야누코비치 쿠데타도 나토 확장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야누코비치는 대통령 재임 기간(2010~2014년) 동안 우크라이나에서 내전이나 대리전을 피하기 위해군사적 중립을 추구했습니다. 이는 우크라이나로서는 매우 현명하고 신중한 선택이었지만,나토 확대에 집착하는 미국의 신보수주의자들에겐 걸림돌이 되었습니다.2013년 말 유럽연합과의 가입 로드맵 서명이 지연되면서 야누코비치 반대 시위가 발생하자미국은 이를 기회로 삼아 시위를 쿠데타로 확대했고,2014년 2월 야누코비치가 전복되면서 정점을 찍었습니다. (...)이러한 진실은 미국의 비밀주의와 미국의 권력에 대한 유럽의 복종으로 여전히 가려져 있습니다. 미국이 기획한 쿠데타가 유럽의 심장부에서 일어났지만,감히 진실을 말할 수 있는 유럽 지도자는 없었습니다. (...)쿠데타는 9년 전 전쟁의 시작이었습니다. 반헌법적 우익, 반러시아, 극우 민족주의 정부가키예프에서 집권했습니다. 쿠데타 이후 러시아는 국민투표를 통해 크림반도를 재빨리 탈환했고,우크라이나 군대에 있던 러시아인들이 쿠데타 이후 키예프 정부에 반대하는 쪽으로 편을 바꾸면서돈바스 지역에서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나토는 거의 즉시 우크라이나에 수십억 달러의 무기를 쏟아붓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전쟁은 격화되었습니다. 프랑스와 독일이 중재로 나선 제 1차 민스크 협정 및제 2차 민스크 평화 협정은 첫째, 키예프의 민족주의 우크라이나 정부가 이행을 거부했기 때문에,둘째, 최근 앙겔라 메르켈 전 총리가 인정한 것처럼 독일과 프랑스가 이행을 촉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2021년 말,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의 세 가지 레드라인이 다음과 같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1) 나토의 우크라이나 확대는 용납할 수 없다;(2) 러시아는 크림반도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할 것이다;(3) 돈바스 전쟁은 제 2차 민스크 협정의 이행으로 해결해야 한다.바이든 백악관은 나토 확대 문제에 대한 협상을 거부했습니다. 러시아의 침공은 야누코비치 쿠데타 8년 후인 2022년 2월에 비극적이고 잘못된 방식으로 일어났습니다.그 이후로 미국은 수백억 달러의 무기와 예산 지원을 쏟아 부으며우크라이나와 그루지야로 군사 동맹을 확장하려는 시도를 두 배로 늘렸습니다. 점점 더 치열해고 있는 전장에서 끔찍한 죽음과 파괴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2022년 3월 우크라이나는 중립을 바탕으로 협상에 임하겠다고 밝혔습니다.전쟁은 실제로 종식에 가까워 보였습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관리들은 물론 터키 중재자들도긍정적인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나프탈리 베넷 전 이스라엘 총리는 미국이 이러한 협상을 막고대신 "러시아를 약화시키기 위한" 전쟁 확전을 선호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번이 전쟁 1주년이라는 전반적인 내러티브는 이 전쟁의 원인과 전쟁을 끝낼 방법을 숨기는 거짓입니다. 이 전쟁은 미국 신보수주의자들의 무모한 나토 확대 추진과 2014년 정권 교체 작전에 대한미국 신보수주의자들의 참여로 인해 시작된 전쟁입니다. 그 이후로 군비 증강, 죽음과 파괴가 엄청나게 확대되었습니다. (...)우리는 진실을 말해야 합니다. 양측 모두 거짓말과 속임수를 쓰고 폭력을 저질렀습니다.양측은 모두 물러나야 합니다. 나토는 우크라이나와 그루지야로 확장하려는 시도를 중단해야 합니다.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서 철수해야 합니다.우리는 세계가 살아남을 수 있도록 양측의 레드 라인에 귀를 기울여야합니다. - 제프리삭스, "The Ninth Anniversary of the Ukraine War", 2023년 2월 28일, 요르단 타임즈 중 발췌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 뒤에 숨겨진 미국과 서방 세계의 패권 경쟁은 전쟁으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무고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무던히 짓밟습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들을 애써 목도하고 알아차리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한 때입니다. 우크라이나에서의 비극에 대한 제프리 삭스의 목소리는국제평화사무국(IPB)와의 대담에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LOG IN 로그인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윤지영을 기억하며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후원하기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윤지영을 기억하며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후원하기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 소개
                    • 함께하는 사람들
                    • 인사
                    • Contact
                  • 연구소 소식
                    • 동북아시아 무장갈등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 자료실
                        • 세미나 기록
                        • TEPI 출판물
                        • 피스커먼즈 ON: 안보의 대안
                        • 연구위원 외부기고
                        • 자료 리뷰
                      • 아카이브
                        • 윤지영을 기억하며
                          • 이대훈 연구노트
                          • 서재정 칼럼
                          • 주제별 자료 보기
                          • TEPI VOICE
                          • Words to Share
                          • The TEPI Podcast
                        • 후원하기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Trans-Education for Peace Institute (TEPI)

                          logo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사)피스모모 | 대표: 문아영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문아영 | 전화: 02-6352-0904 | 이메일: momotepi1211@gmail.com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41다길 48-12 | 사업자등록번호: 531-82-00077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